
 국토교통부, 2024. 7. 17. 6:00
18일부터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전면 개정
… 탄소저감 도로포장 기술 활성화 및 포장 수명 연장 내용 담아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 전면 개정안을 마련하여 7월 18일 전국 각 도로관리청에 배포합니다.
이번 개정안은 ’17년 지침이 통합 발간*된 이후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최근의 기술개발 내용들을 반영하기 위해 ’21년 10월부터 약 3년에 걸쳐 정책연구와 전문가 토론, 공청회 등을 거쳐 마련하였습니다.
* 재활용, 중온, 교면포장 등 11종 지침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시공 지침」(’17년)으로 통합 →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 관련 부분 개정(’21년)
지침 개정안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도로 안전성을 높이는 탄소저감 도로포장 기술 확대 및 포장 수명 연장 등을 골자로 합니다.
순환(재활용) 아스팔트 포장을 활성화하고 일반 아스팔트 대비 약 20% 이상의 탄소저감 효과를 지닌 중온 아스팔트 혼합물 적용대상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는 등 탄소저감 기술의 현장 적용 활성화를 촉진토록 하였습니다.
ㅇ 기후위기 대응 도로포장 기준 개선
■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 기준 개정
도로 현장에서 재활용하는 순환 현장 아스팔트 포장 기준 신설
저점도/고침입도 아스팔트를 활용하기 위한 품질기준 마련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용 재생첨가제 기준 개선 및 환경성 기준 명확화
순환 아스팔트 혼합물의 포장성능평가 세부시험기준 신설
■ 중온화 아스팔트 기준 개정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석유계 연료를 절감하는 중온화 아스팔트 사용 활성화(다양한 재료 사용)를 위해 온도저감 30℃→20℃로 기준 개정
■ 순환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 기준 개정
무탄소 기술인 순환 상온 아스팔트 포장의 수명 증진을 위해 재료 사용 기준(활성채움재 등) 개정
■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기준 신설
탄소저감 기술 다양성 확보를 위해 물을 사용하여 아스팔트를 팽창시켜 혼합성을 향상시키는 기포 아스팔트 혼합물 기준 마련
또한, 포장 조기 파손이 빈번한 버스전용차로의 시공 기준과 배수성 포장의 내구성 강화를 위한 기준 등도 신설하였습니다.
포장 평탄성*을 훼손하는 소성변형의 저감을 위해 아스팔트 품질기준을 개선하는 등 도로포장 내구성을 강화하고 수명도 연장할 수 있는 기준도 마련하였습니다.
포장 평탄성: 바닥이나 표면 등이 평평한 정도로, 도로의 평탄성이 높을수록 차량의 주행 안정성, 승차감, 소음, 연비 등이 높아져 도로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향상
ㅇ 도로포장 수명증진을 위한 기준 개선
■ 버스전용차로 포장 기준 신설
버스전용차로의 안전과 조기파손 방지를 위한 기준 신설
■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혼합물 개정
고내구성용/유지보수용 6mm 표준배합 기준 추가, 결빙 취약구간→적설‧한냉 지역
■ SMA 혼합물 기준 개정 (Stone Mastic Asphalt)
소성변형 저감 위해 개질 아스팔트 소성변형률 기준 마련
타이어 마모감소용 6mm 표준배합 기준 추가, 칸타브로손실률 기준 추가
■ 구스아스팔트 혼합물 기준 개선
표준배합 입도 13. 10, 6mm 기준 개정, 구스 혼합물 생산 및 시공 온도 현실화
구스 아스팔트 바인더 개질아스팔트 공용성 등급 적용
■ 교면포장용 방수재 기준 개선
지침/KS/전문시방서의 방수재 기준을 검토하여 개선, 2층방수 개념 명확화
■ 택코트용 유화아스팔트 기준 개정
시공 중 택코트 손실 예방을 위해 타이어 부착률이 낮은 택코트용 개질 유화 아스팔트 기준 마련
ㅇ 지침 현행화를 통한 현장 적용성 개선
■ 긴급보수용 상온 아스팔트 혼합물 기준 개정
포트홀 보수를 위한 긴급보수재를 도로의 교통량 수준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세부 기준 마련
■ 아스팔트 플랜트 자동 배합장치 허용 오차 개선
아스팔트 혼합물 생산시 계량오차 기준 현실화
■ 굵은골재 입도 기준 개정
배수성/저소음 아스팔트 포장용과 SMA 포장용 굵은골재 일원화
■ 채움재 기준 개선
품질관리를 높이기 위해 KS 기준 반영 및 철함량 시험 기준 마련
이번 지침 개정을 통해 저탄소 도로포장 기술 활성화와 포장 내구성 강화를 통해 도로건설 분야에서도 2050 Net Zero 달성*을 적극 추진하고 보다 안전한 도로를 구현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탄소중립) 생산/흡수되는 탄소량을 같게 하여 탄소배출량 ‘0’ 달성
원본 : https://blog.naver.com/mltmkr/223514816635

|